The Abstract Field of Color ; Color Beyond the Radiance
전시 기간 : 2022년 9월 1일 - 9월 30일
전시 제목 : 《색면 추상; 빛 너머의 색 The Abstract Field of Color; Color Beyond the Radiance》
전시 장소 : 비비안초이갤러리 (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 85길 30, 2F )
참여 작가 : 전원근, 박수정, Andy Harwood / 3인
비비안초이갤러리는 회화의 가장 본질적 요소인 색에 중점을 두고 반복된 수행이 축적된 화면을 통해 회화에 시각적 공간과 빛을 담아내는 세 명의 작가, 전원근, 박수정, 앤디 하우드 Andy Harwood 의 3인 전, 《색면 추상; 빛 너머의 색 The Abstract Field of Color; Color Beyond the Radiance》을 개최한다.
독일에서 활동하는 작가 전원근, 미국 캘리포니아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 박수정, 브리즈번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호주 작가 앤디 하우드 Andy Harwood, 세 작가는 회화의 기본 구성요소인 점, 선, 면, 그리고, 색이라는 회화의 가장 본질적인 물성에 집중한다. 이들의 회화는 기하학적이거나 또는 유영 游泳하는 색 면 (color field) 으로 구성되는데 절제된 표현으로 형태가 단순하지만 색 면의 반복적인 패턴은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최소한의 표현으로 회화에 접근하지만 이들이 창조하는 색은 ‘색’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색은 세 작가들에게 작가의 감정을 전달하고 빛을 시각화하며 관객과 소통하는 도구이며 창 窓이다. 이들은 색을 다른 색, 또는 칼로 흠을 내어 형성한 공간과 결합시켜 색을 빛의 스펙트럼으로 확장시키고 색과 빛이 관람자의 의식과 반응하며 나타나는 공감각적 경험에 대해 탐구한다. 전원근, 박수정, 앤디 하워드 Andy Harwood, 세 작가는 색의 인위적인 조합보다는 색과 색 간의 미묘한 음영의 차이로 형성되는 색의 스펙트럼을 통해 색이 가진 무한한 확장성에 집중한다. 반복적 작업의 창작 과정에서 작가들은 색 면 (color field) 간의 수평적이거나 수직적인 분할로 경계를 구분하기보다는 색과 색 사이의 미묘한 음영의 표현을 통해 미디엄 (medium) 표면에서 잔잔하게 울리는 색의 진동과 진폭에 중점을 둔다. 수없이 색을 바르고 긁어내고 다시 색을 채우는 과정의 반복은 재료의 물성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예술가의 수행의 과정을 화폭으로 전하며 숙연한 정신적 울림을 자아낸다.
1990년대부터 독일에 거주하며 활동하는 전원근 작가는 ‘색’ 이라는 회화의 근본적인 물성을 이용해 단색의 추상적인 영역과 색의 관계를 탐구하며 절제된 단색화를 작가만의 새로운 시각으로 확장해왔다. 색은 전원근의 회화의 기본 요소이며 핵심 주제다. 작가는 시간을 두고 색을 수없이 중첩 시킴으로써 회화에 시각적 공간을 창조하고 색의 음영이 창조하는 무한한 빛과 색의 깊이를 담아왔다. 전원근 작가는 캔버스에 묽은 아크릴 물감을 스무 번 이상 얇게 덧칠하여 색상을 고르게 분포한 뒤 물과 붓으로 닦아 낸다. 다시 빨강, 노랑 초록, 파랑, 이 네 가지 색을 50 겹 정도 쌓아 올리고 지우는 작업을 반복하는데 이 작업은 길게는 1년 이상이 걸리는 수행의 과정이다. 물감이 벗겨진 자국들과 수 겹의 색의 레이어가 서로 겹쳐져 은은하게 발색 되어 자연스러운 빛깔이 캔버스 밑에서부터 우러나온다. 작가는 여러 색의 결합이 고유한 정체성을 가진 또 다른 색이 되는 과정과 여러 겹의 색이 수없이 중첩되며 색의 미묘한 차이들이 만들어낸 명암을 화면에 담는다. 하나의 색이 다른 색과 결합하여 새로운 색의 레이어로 확장되어 색의 형태들 표면에는 광환 (corona) 이 둘러지며 광채 (radiance)를 띠는데 물감을 닦아내고 흔적을 만드는 과정이 이러한 광환 형성의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 마치 도자 표면에 맑은 유약을 바른 듯 캔버스 표면에서 은은하게 새어 나온 영롱한 빛은 무한한 시간의 겹을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물감을 50번 이상 올리면서 캔버스 가장자리는 물감이 흘러내리고 닦여진 흔적들이 그대로 남는다. 캔버스 옆면은 전원근의 작품 세계에서 상징적인 공간으로, 수행 과도 같은 작업의 과정과 예술가로서의 작가의 사명, 그리고 여러 겹의 시간의 흔적을 제시한다.
로스앤젤레스에서 거주하며 활동하는 박수정 작가의 작품은 1960년대 캘리포니아 남부에서 발생한 예술 운동, ‘빛과 공간’, ‘Light and Space Movement’ 과 괘를 같이 한다. 뉴욕에서 미니멀리즘이 유행하던 1960년대, 미 서부의 작가들은 기하학적인 형태와 빛을 사용하여 '공간감'과 보는 이의 '지각'에 주목하여 옵아트, 미니멀리즘, 기하학적 추상을 발전시켰다. 미 서부의 강렬한 태양은 남부 캘리포니아의 예술가들을 오랫동안 사로잡아왔고 이들은 유리·플라스틱·아크릴과 같은 산업 소재를 이용하며 ‘Light and Space’ 예술을 탄생시켰다. 박수정 작가의 작업은 로버트 아윈 (Robert Irwin), 제임스 터렐 (James Turrell), 래리 벨(Larry Bell) 과 같은 로스엔젤레스 지역의 거장들과 같이 빛과 공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지만 잉크, 안료와 같은 오래되고 전통적인 재료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밀도가 높고 표면이 매우 단단한 플락시글라스 Plexiglas 판 위에 무수한 선을 긋고 선과 선 사이의 비워진 공간에 색을 입힌다는 것은 고통에 가까운 수행의 과정이다. 박수정 작가는 나이프 (scoring knife)로 플락시글라스 표면에 선을 긋고 사포 (hand sander) 로 앞 뒷면을 갈아낸 다음 마모된 표면 위에 잉크와 안료를 문지르면서 색을 입힌다. 작가는 플락시글라스 표면에 마모된 미세한 지형적 변화를 이용하여 세심하게 색을 흡수시켜 투명한 색상에서 보다 채도가 높은 색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색의 음영을 만든다. 박수정 작가는 선 과 선 사이에 매번 테이프를 붙이고 색을 입히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이는 하나의 색 선이 반복되지 않고 제 각기 다른 색을 조합하여 색의 음영을 만들기 위한 작가 만의 고유한 작업 방식이다. 이 때문에 중복되는 색은 없고 같아 보이는 레드 컬러도 실제로 똑 같은 레드가 아니다. 플락시글라스 패널의 앞 면과 뒷 면에 그어진 수평선들에 흡수된 안료의 미세한 입자는 플락시글라스의 질감의 흐름 따라 깊이 분산되면서 한층 더 풍부하고 다양한 빛깔을 품는다. 플락시글라스의 불투명한 표면 안쪽에서도 투명도를 유지하는 것은 전통적인 캔버스에서는 만들어 질 수 없는데, 이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공간을 비워내고 다시 색으로 채우며 재료의 물성을 다루는 작가의 원숙한 숙련의 결과이다.
근거리에서 보면 나이프로 힘껏 내어 그은 날카로운 선이 표면에 드러나며 마치 액션 페인팅처럼 작가의 역동적인 움직임을 상기시키는데 이는 작품 전체에서 느껴지는 사색적이고 고요하며 명상적인 정서와 대조된다. 이렇듯 자세히 보면 부분적으로 칼로 새겨진 동적 라인들이 도출되며 긴장을 유발하는데 표면에 그어진 수많은 선들은 채색을 위해 만든 공간으로 색과 빛이 결합할 수 있도록 작가가 창조하는 공간이며 에너지와 색의 유기적인 흐름을 터 주는 공간이다. 패널의 가장자리는 비스듬히 사선으로 커팅 (beveled cut)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을 굴절시키고 사방으로 반향 시키면서 무한한 빛의 스펙트럼을 창조한다. 이는 색과 빛의 융합의 효과를 탐구하고 공간과 반응하는 빛이 관람자에게 전달하는 유기적 경험을 도출하기 위한 박수정 작가의 고유한 작업 방식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박수정 작가의 싱글 패널 (single panel)과 여러 개의 패널을 함께 배치한 멀티 패널 (multi panel) 작품을 선보이는데 직사각형 패널의 단순한 배열은 미니멀리즘 Minimalism을 대표하는 도널드 저드 Donald Judd 의 작품을 상기시킨다. 그러나 색과 빛이 만들어 내는 에너지와 생동감은 맥시멀리즘 Maximalism 의 화려함과 풍성함 또한 느끼게 한다. 박수정 작가의 작품은 작가 스스로의 감정적 인식의 탐구에서 시작되었지만, 작가는 작품에 대한 기술적인 이해나 묘사보다는 작품 전반에 흐르는 시적이고 낭만적이며, 평온하고, 단순한 아름다움, 그리고 선과 선 사이의 공간에 의해 유도되는 끝없는 관점의 반향을 경험하라고 전한다.
호주 태생의 앤디 하우드 Andy Harwood는 브리즈번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아티스트로 15년 이상 시드니, 마드리드, 런던, 오스트리아의 여러 갤러리와 미술관 전시에 참여했다. 특히 2020년에 앤디 하우드의 최근작인 <9 to the Power of 9 (2)> 는 브리즈번 미술관 Museum of Brisbane의 전시인 《Bauhaus NOW》에 포함되며 미술관 큐레이터들과 세계 컬렉터들에게 상당한 관심을 받았다. 2004년에 퀸즐랜드 대학 Queensland College of Art 에서 디자인을 전공한 앤디 하우드 Andy Harwood는 몬드리안 Piet Mondrian, 말레비치 Kazimir Malevich 그리고 조셉 알버스 Josef Albers 에서 받은 영향과 자신의 디자인 전공 배경을 결합하여 작가만의 독특한 작품 세계를 확립하였다. 앤디 하우드 Andy Harwood는 기하학적이고 비구상 색 면 (abstract color field)을 통해 인간의 감정을 작가만의 시각적 언어로 표현한다. 이번 전시 《색면 추상; 빛 너머의 색》에서 선보이는 작품들은 작가의 최근작 <Future Rumination 2022> 시리즈의 일부로 추상 기하학이 관객에게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능력에 대한 연구이다. 이 시리즈는 옵아트 Optical Art, 특히 조셉 알버스 Josef Albers의 작품, <정사각형에 대한 경의 Homage to the Square> 에 대한 오마주이다. 리처드 에누즈키에위즈 Richard Annuszkiewicz의 <템플 Temple> 시리즈에 영향을 받은 <Future Rumination> 시리즈는 망막과 뇌의 지각 사이의 기능적 관계를 탐구한다. 하우드 Harwood는 질서와 무질서 사이에서 유동하는 인간의 뇌의 감각에 관심을 두고 수학적인 비율을 통해 기하학적이고 비구상의 형태가 전달하는 심리적 효과를 탐구한다. 특히 형태와 구조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인간의 시각과 작품의 형태, 크기, 위치, 색 그리고 공간의 상호 작용에 주목한다. 작품의 구성은 균형과 비율로 도출되는 압도적인 감각을 만들기 위해 수학적으로 계산된다. 서로 대조되는 색의 스펙트럼과 일정한 색 면 패턴은 관객이 새롭고 다양한 시각적 내러티브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작가는 다양한 질감의 레이어링으로 밑그림을 그려서 화폭에 에너지와 움직임을 부여한다. 반복되는 패턴은 캔버스를 가로질러 전경과 배경이 겹쳐지며 관람자의 시선을 중심 초점에서 빗나가게 한다. 관람자의 시선은 캔버스 안쪽과 바깥쪽 공간 사이의 장력 張力에 따라 움직이는데, 캔버스 안쪽으로 초점을 맞추는 형태의 가장자리는 밝은 색에서 어두운 색으로 전환하며 마치 인피니티 미러 infinity mirror 처럼 시선을 캔버스 중앙으로 끌어당긴다. 하우드는 Harwood는 형상이 후퇴하고 전진하는 반향적인 효과를 내기 위해 반투명하고 화사한 색 층, 즉 색의 레이어 (layer of colors) 를 만든다. 색을 혼합하여 점진적인 색의 그라데이션을 만들어 기하학적 형태의 구조적 정밀도를 형성한다. 기하학적인 형태와 색채의 장력을 통해 형상이 후퇴하고 전진하는 모습을 동시에 보면서 보는 이의 공간감과 현실감이 왜곡된다. 색깔과 형태의 반복은 생각의 반복을 반영하는데, 깊이 반추할수록 생각의 순환에서 벗어날 수 없고, 과도한 분석은 역설적으로 생각을 제 자리에 얼어붙게 한다는 역설을 작가는 끝이 보이지 않는 깊은 우물 (infinity well) 형태로 표현한다. 색 기둥 (columns) 그리고 네온 불빛과 같은 형광색 (fluorescent color)을 특징으로 하는 <Future Rumination> 작품은 질서와 무질서, 움직임과 정적 사이의 경계로 관객의 시선을 안내한다.
색의 시각적 영역을 공감각의 영역으로 확장하는 전원근, 박수정, 앤디 하우드 Andy Harwood, 세 작가가 선보이는 3인전, 《색면 추상; 빛 너머의 색 The Abstract Field of Color; Color Beyond the Radiance 》을 통해 색과 빛이 만들어 내는 사색적이고 명상적인 경험을 느껴보기 바란다.
《 The Abstract Field of Color; Color Beyond the Radiance》
Sept.1 - Sept.30, 2022
VIVIAN CHOI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 The Abstract Field of Color; Color Beyond the Radiance》 3 person exhibitions featuring Won Kun Jun, a Korean artist based in Germany, LA based Korean artist, Park Soo Jung and Andy Harwood, Australian artist based in Brisbane.
《 The Abstract Field of Color; Color Beyond the Radiance》 explores color and the process of creating illumination and vibrancy of colors. Participating artists explore consistency of form and process of art making in their own unique medium and method creating new shades of colors and illumination with varied mediums. In result, color is freed from objective context and becomes the subject itself. 《 The Abstract Field of Color; Color Beyond the Radiance》 glimpse into the artists consciousness—color relationships that convey feeling and visualize artists emotions, and which are imbued with an aura, a sense of age, and mystery. Colors generate “resonance in harmony,” a cohesive equilibrium that recalls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The participating artists, Won Kun Jun, Soo Jung and Andy Harwood have extensive exhibition histories internationally and represented by renowned galleries worldwide.
Since the 1990s, Won Kun Jun, who lives and works in Germany, has expanded the monochromatic painting to a new perspective of the artist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tract area and color of monochromatic painting. Color is the basic element and key subject of Won Kun Jun's painting. By overlapping colors countless times over time, the artist has created a visual space in the painting and captured the infinite light and depth of color that the shades of color create. Won Kun Jun applies a thin layer of watery acrylic paint on the canvas more than 20 times, distributes the color evenly, and wipes it with water and a brush. Again, the process of stacking and erasing the four colors, red, yellow, green, and blue, is repeated, which takes up to a year or more. The paint marks and layers of color overlap each other to create a subtle color, resulting in a natural color from the bottom of the canvas. The artist captures the process of combining multiple colors becoming another color with a unique identity and the light and shade created by subtle differences in colors by overlapping layers countless times. One color is combined with another to extend to a new layer of color,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colors with corona and radiance, and the process of wiping the paint and making traces becomes a decisive factor in the formation of this photo-circle. As if a clear glaze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eramic, the brilliant light that gently leaked from the surface of the canvas visually conveys an infinite layer of time. As the paint is placed more than 50 times, the paint flows down from the edge of the canvas and traces of wiping remain. The side of the canvas is a symbolic space in the world of Won Kun Jun’s works, presenting the process of work such as performance, the artist's mission as an artist, and traces of time in many layers.
A Los Angeles based Korean artist, Park Soo Jung's works are in line with the art movement, "Light and Space Movement" that occurred in southern California in the 1960s. In the 1960s, when minimalism was prevalent in New York City, artists from the California developed opt art, minimalism, and geometric abstractions using geometric forms and light to focus on "space" and "perception" of the viewer. The intense sun in California has captivated artists in Southern California and they have created "Light and Space Movement " using industrial materials such as glass, plastic, and acrylic. Drawing countless lines on a dense, very hard-surface like plaxiglas plate and coloring the empty space between the lines is performance art itself. Park Soo Jung draws a line on the surface of the plaxiglas with a knife, grinds the front and back of the plaxiglas with a sander, and applies the color by rubbing ink and pigment on the worn surface. Soo Jung carefully absorbs colors using fine pigments to create shades of various colors; from transparent colors to more saturated colors. Fine particles of pigment absorbed by horizontal lines drawn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plexiglas panel are deeply dispersed along the flow of the texture of the plexiglas, embracing a richer and more diverse color. Maintaining transparency even inside the opaque surface of the plexiglas cannot be made on traditional canvases, but only as a result of the artist's proficiency in emptying, refilling the medium with pigments to allow light to penetrate.
At close distance, a sharp line drawn with a knife is revealed on the surface, reminding the artist of dynamic movement like action painting, which contrasts with the contemplative, quiet, and meditative sentiment felt throughout the work. In details, dynamic lines partially carved with knives are derived and cause tension, and many lines drawn on the surface are spaces created for coloring; spaces created by artists to combine colors and light, and spaces that burst the organic flow of energy and color. The edges of the panels are obliquely cut to create an infinite spectrum of light, refracting and reverting light from the outside in all directions. This is Park Soo Jung's unique way of working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fusion of color and light and derive the organic experience that the light responding to space transmits to the viewer. In this exhibition, Park Soo Jung's single panel and multi-panel works with several panels are presented, and the simple arrangement of rectangular panels reminds us of Donald Judd's work, which represents Minimalism. However, the energy and vitality created by color and light also makes you feel the splendor and abundance of Maximalism. Park Soo Jung's work began with the artist's own quest for emotional perception, but rather than technical understanding or portrayal of the work, the artist encourages viewers to experience poetic, romantic even simple beauty, and endless echoes induced by the space between lines.
Australian-born Brisbane-based artist Andy Harwood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exhibitions by galleries and museums in Sydney, Madrid, London, and Austria for more than 15 years. In particular, Andy Harwood’s latest work, <9 to the Power of 9(2)>, was included in the exhibition, 《Bauhaus NOW》at Museum of Brisbane, drawing considerable attention from art museum curators and worldwide collectors. Andy Harwood studied Design at Queensland College of Art at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in 2004 and established his own unique style by combining the influence from Piet Mondrian, Kazimir Malevich, and Josef Albers with his design background.
Andy Harwood expresses human emotions in the artist’s own visual language through geometric and abstract color fields. The works presented in this exhibition, 《The Abstract Field of Color; Color Beyond the Radiance》are part of the artist's latest <Future Rumination 2022> series and are studies on the ability of abstract geometry to arouse emotional responses from audiences. This series is homage to Optical Art, especially Joseph Albers' work, <Homage to the Square>. Influenced by Richard Annuszkiewicz's <Temple> series, the <Future Rumination> series explores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tina and the perception of the brain. Andy Harwood focuses on the senses of the human brain that flow between order and disorder and explores the psychological effects that geometric and non-conceived forms convey through mathematical proportions.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structure, attention is paid to the interaction of human vision and the form, size, location, color, and space of the work. The composition of the work is calculated mathematically to create an overwhelming sense derived from balance and proportion. Contrasting color spectra and constant color patterns induce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diverse visual narratives.
Harwood paints layers of various textures to give energy and movement to the canvas. The repeated pattern overlaps the foreground and background across the canvas, diverting the viewer's gaze from the center focus. The viewer's gaze moves according to the tension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spaces of the canvas, with the edge of the canvas focusing on the inside shifting from bright to dark, drawing the eye to the center of the canvas like an ‘Infinity Mirror’. Harwood creates a translucent, bright layer of color to create an echo effect of the shape retreating and advancing. Gradual color gradations are created by mixing colors to form geometric structural precision. The viewer's sense of space and reality is distorted by watching the shape retreat and advance through the tension of geometry and color simultaneously. Repetition of color and form reflects repetition of thought; the more deeply ruminated, the more unable to escape the thought, paradoxically, excessive analysis freezes the thought in place. Harwood visualizes this paradox in the form of an endless ‘Infinity Well’. Featuring color columns and fluorescent colors such as neon lights, < Future Rumination> guides the audience's perspective in the boundary between order, disorder and movement and static.